Spring Boot/Spring Boot 설정

VSCode로 Spring Boot 설정, 프로젝트 생성, 서버 실행

모건이삼촌 2023. 5. 15. 17:48

회사마다, 학원마다 셋팅은 모두 다를 수 있으니 참고만 했으면 한다.

Spring Boot 수업은 vscode로 진행하기로 했으며 교재는

이걸 사용한다.

 

1. 기본 설치

 - jdk 8버전 설치

 - vsocde 설치

 

2. vscode 플러그인 설치

3. 프로젝트 생성하는법

 - 프로젝트는 Spring initializr에서 생성한 뒤 workspace 폴더에 넣는법과, vscode에서 생성하는법이 있다.

 - 전자로 실행하면 원래 vscode에서 먼저 감지해준다 하는데 우리는 무슨 셋팅을 안했는지.... 안되서 2번째 방법으로 했찌만  둘 다 소개하려고 한다.

 - 셋팅의 기준은 수업의 기준이지 참고만 해줬으면 한다.

 

3-1. Spring initializr

https://start.spring.io/

기본적으로 위 사진과 같이 셋팅해주면 된다.

차례대로 보자면

1) Project

 - gradle 기반인지, maven 기반인지 어떤것으로 할건지 설정하는것

 

2) Language

 - 언어 설정

 

3) Spring Boot

 - Spring Boot 버전 설정이다. 우리는 2.7.12(SNAPSHOT) 버전을 사용한다

 

4) Project Metadata

 4-1) Group : 주로 본인 도메인을 적는다.

 4-2) Artifact : 프로젝트명을 적는다.

 4-3) Name : Artifact를 적으면 같이 따라적힌다.

 4-4) Description : 안바꿔도 됨

 4-5) Package name : 4-1, 4-2 작성시 알아서 작성됨

 

5) Packaging

 - 배포용이면 War, 배포하지않을거면 Jar로 설정

 

6) Java

 - java version을 선택하면 된다. 11버전 이상을 권장하며 우린 이미 8버전을 깔았기 때문에 일단 쓰다가 문제생기면 변경할 예정이다.

 

7) Dependencies

 - 우측 상단에 add 버튼을 눌러 본인이 필요한 dependencies를 추가하면 된다.

 - 주로 우리는 위 스크린샷과 같이 4개의 dependencies를 사용한다.

 

8) 프로젝트 다운로드

 - 작업이 모두 되었으면 좌측 하단 GENERATE를 눌러 프로젝트를 다운받으면 된다.

 

3-2. VSCode에서 프로젝트 생성하기

 - 위 방법과 매우 흡사해서 설명을 대충쓰고싶지만 위 방법을 안보고 이 방법으로만 하는분들이 있을수도 있어 상세히 설명하겠다...

 

1) Ctrl + Shift + p 입력후, Spring initializr 입력

 - Create a Gradle Project 선택

 - 혹시 본인이 필요한게 Maven Project면 그거 눌러서 만들면 된다.

 

2)  Spring Boot Version 설정

 - 2.7.12 (snapshot) 선택

 

3) 언어 설정

 - java 선택

 

4) Group 설정

 - 주로 본인의 도메인을 쓴다

 

5) 프로젝트명

 - 프로젝트명 입력

 

6) Packaging

 - 웹 배포용은 War를 선택하면 된다.

 

7) Java version

 - 본인이 설치한 자바 버전에 맞게 선택해주면 된다.

 

8) dependencies

 - 본인이 필요한 dependency를 추가해주면 된다.

 - 나는 lombok, Spring Web, H2 database, Spring Data JPA를 추가했다.

 - 선택 뒤 Selected ? dependency를 누르면 된다.

 

9) 프로젝트 생성 위치

 - 본인이 사용하고있는 workspace 폴더에 Generate 해주면 프로젝트가 생성된다.

 

 

4. server 실행

 - 서버가 정상적으로 실행되야 정상적으로 프로젝트가 생성된것이다.

 

4-1. src/main/본인도메인/???Application 에서 F5를 눌러 메인메서드 실행

 - 서버, 크롬 실행 후 localhost:8080 입력

이 화면이 나오면 서버가 정상적으로 실행된것이다.

'Spring Boot > Spring Boot 설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Boot 포트 변경하는법  (0) 2023.0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