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01-09 09:30 ~ 18:30 수업진행
※ 수업내용
1. 설치 및 기본 셋팅
설치 방법은 인터넷에 많으니 생략하도록 하고 자바는 jdk17.0.5 버전 이클립스는 21-09버전으로 설치하였다.
셋팅은 2가지를 진행하였는데 인코딩설정, 폰트설정을 하였다.
1) 인코딩 설정
우리는 한국인이며 한글을 종종 코드에 작성할때가 있어 인코딩중 한글이 깨지는 것을 막기 위하여 기본 인코딩 설정을 UTF-8로 설정하였고 방법은 아래 사진과 같다.
상단 메뉴탭에 window > Preferences 클릭
Preferences창에서 General 메뉴 열고 최하단 Workspace 클릭
좌측 최하단 Text file encoding에서 Default 값이 아닌 Other 체크 후 메뉴박스에서 UTF-8으로 변경
2) 폰트설정
폰트는 대문자, 소문자 알파벳을 명확히 구분하기 위해, 그리고 더 이쁜 폰트를 쓰기 위해 변경하였다.
폰트는 D2 Coding폰트를 다운로드 하여 설정하였으며 폰트 설정 변경법은 아래와 같다.
폰트 다운로드 및 설치 생략
상단 메뉴탭에 window > Preferences 클릭
Preferences 창에서 Appearance 메뉴 열고 Clolrs and Fonts 클릭
빨간색으로 동그라미친 Edit.. 클릭
여기서 글꼴 란에 D2Coding 검색후 확인버튼을 눌러 설정을 마친다.
2. Hello Java
자바 파일을 생성해보자.이클립스 좌측 패키지 탐색기에 test라는 폴더가 생겼을텐데 > 버튼을 눌러 하위폴더를 열고 src 폴더를 우클릭, New 클릭,. Class 를 선택한다.
이 과정이 귀찮으면 단축키로도 class 생성이 가능하다.
단축키는 Ctrl + N 이다.
단축키를 누르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뜨는데 Class를 선택하면 된다
src 폴더 우클릭 후 Class를 생성하거나 단축키를 눌러 Class를 생성했다면 아래 사진과 같이 Package와, Name을 입력해주고 Finishi를 눌러준다.
새 파일이 생성되고 파일을 편집할 수 있는 영역이 추가 되었으니 HelloJava라는 문자가 출력되는 프로그램을 생성해보자
1
2
3
4
5
6
7
8
9
10
|
package chapter2;
public class HelloJava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out.println("Hello Java");
}
}
|
cs |
코드 입력후 저장 (Ctrl+s), 실행단축키 (Ctrl+F11) 을 입력하여 출력하면
아래 Console 탭에 HelloJava가 출력된다

3.주석
주석이란 자바 프로그램 내에서 실행되지 않는 영역을 표시한다.
주로 주석은 소스 코드에 대한 설명을 작성해 두거나, 프로그램이 실행되지 않는 영역으로 표시하기 위해 주석을 사용한다.
아래 표에 기호, 설명, 단축키를 정리해두겠다.
주석 정리는 끝났으니 이제 "Hello Java" 파일을 수정 해보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package chapter2;
public class HelloJava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out.println("Hello Java");
// System.out.println("Hello Java");
/*
* Hello Java를 출력하는 실행문을 주석처리 하고
* 아래 안녕 자바라고 출력되는 실행문을 추가
*/
// "안녕 자바" 라고 출력되는 실행문
System.out.println("안녕 자바");
}
}
|
cs |
4. 실행문
실행문은 프로그램에서 처리하는 하나의 단위를 의미함
하나의 실행단위가 끝났다는것을 표현하기 위해 ;(세미콜론)을 찍음
예시)
1
2
3
4
5
|
System.out.println("Hello Java");
System.out.println("안녕 자바");
System.out.println("Hello Java");System.out.println("안녕 자바");
|
cs |
4번과 같이 실행문을 한줄에 써서 실행해도 결과는 동일하게 나오나 가독성을 위해 한줄씩 쓰도록 하자.
5. 변수
1) 변수선언
변수 선언시 자료형(Type)과 변수명(name)을 같이 써 주어야 한다.
예시)
자료형 변수명;
변수명 = 초기값;
자료형 변수명 = 초기값;
2) 변수 이름 규칙
- 변수명은 알파벳, 숫자, 특수문자(_,$), 한글사용가능
- 숫자로 시작할 수 없음
- 공백 사용 불가
- 대/소문자 구분
- 예약어 사용 불가
- ★ 의미 부여
변수를 a, b, c 라고만 짓게 되면 코드를 보고 이 변수가 무슨 용도인지 알 수 없으니 꼭 의미를 부여하도록 하자.
3) 개발자들의 규칙
- 클래스명 첫자를 대문자로 (String, Math 등등)
- 변수나 메서드는 첫자를 소문자로
- camel 표기법 사용 (LastIndexOf, parseInt, studentNumber 등등)
- 상수는 모두 대문자로 (PI, MAX_NUMBER 등등)
6. 자료형
자료형은 데이터 타입이라고 하며, 데이터형, 자료타입, 타입 등 으로 부른다.
자료형은 변수에 담을 값의종류를 뜻하며 변수를 선언할 때 이 변수가 어떤 값이 담겨질지 미리 판단해서 선언해야 한다.
1) 기본자료형
아래 표에 기본 자료형을 정리해 두겠다.
위 표 처럼 기본자료형은 8가지가 존재하며 우선 자주쓰이는 4가지만 우선적으로 기억하며 int는 꼭 기억해두자.
1-1) 논리형
논리형 자료형에 해당하는 타입은 boolean이며 true 아니면 false 둘 중 하나만 대입할 수 있다.
1-2) 정수형
정수형 자료형에 해당하는 타입은 byte, short, int, long, char가 있다.
작은 범위형의 자료형을 사용하면 데이터를 절약 할 수 있지만, 대부분 int를 사용하며 21억이 넘어가는 값을 사용할 때에만 long으로 선언한다.
1-3) char 자료형
char 자료형은 정수형이지만 문자형으로 분류하는 경우도 있다.
정수형처럼 연산이 가능한데 내부적으로 문자에 해당하는 코드를 정수로 저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
package chapter3;
public class CharTyp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har a = 'A';
System.out.println("a:"+a);
int b = a;
System.out.println("b:"+b);
char c = 66 ;
System.out.println("c:"+c);
int d =a+b; // 65 + 65
System.out.println("d:"+d);
}
}
|
cs |
위 표를 보면
char a = 'A' ;
1-4) 실수형
실수형은 float과 double 두 가지가 있으며 float은 소숫점 6자리까지 보장하고 double은 소숫점 15자리까지 보장한다.
아래 예제를 만들어 살펴보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
package chapter3;
public class FloatDoubleEx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float f = 3.141592653589793f;
double d = 3.141592653589793d;
System.out.println("float : "+f); //f는 강제
System.out.println("double : "+d); //d는 생략가능
double d2 = 3.141592653589793; //d 생략
System.out.println("double : "+d2);
}
}
|
cs |
float은 변수의 값 뒤에 f가 강제되며
double은 변수의 값 뒤에 d가 강제되지 않는다.
Console탭을 보면
float은 소수점 7자리까치 출력되었지만 6자리까지 보장하기 때문에 7번째자리는 반올림이 된 채로 출력되었고
double은 소수점 15자리까지 보장되었기 때문에 15자리 모두 출력된걸 볼 수 있다.
정수형에서 int가 자주 쓰이는 자료형이였다면
실수형에서 double가 자주 쓰이기 때문에
소수점이 있으면 double로 선언하는 것이 편하다.
7. 참조자료형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
package chapter3;
public class StringEx0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name;
name = "홍길동";
String name2 = "홍길동";
String name3 = null;
String name4 = "";
System.out.println("name2="+name2);
System.out.println("name3="+name3);
System.out.println("name4="+name4);
}
}
|
cs |
8. 상수
상수란 값을 한번 저장하면 변경 할 수 없는 수 이다.
상수로 선언하려면 변수 앞에 final 이라는 키워드를 사용한다.
상수는 관례로 대문자로만 변수명을 작성하며 프로그램 내에서 변경이 되면 안되는값을 정의할 때 사용된다.
변경이 필요하다면 final 키워드를 제거하던가 선언된 값을 수정하면 된다.
1
2
|
final double PI = 3.14; //상수 선언
PI = 3.141592; //상수에 값 변경시 에러 발생
|
cs |
9. 리터럴
리터럴은 소스상에서 직접 입력된 값을 뜻한다.
리터럴은 상수와 같은 의미라고 볼 수 있지만, 상수와 구분하기 위해 정해진 표기법을 통해
정수리터럴
실수리터럴
문자리터럴
논리리터럴
으로 구분해서 표기한다.
즉 리터럴은 모든 숫자(정수, 실수), 문자, 논리 값들이 리터럴이다.
9-1) 제어문자
제어문자를 아래에 표에 정리한다.
아래 예제를 살펴보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package chapter3;
public class EscapeEx0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greet = "안녕하세요, \n저는 \"홍길동\"입니다.";
String greet2 = "\t반갑습니다.";
System.out.println(greet);
System.out.println(greet2);
}
}
|
cs |
10. 변수의 범위 (scope)
변수를 선언하면 사용 가능한 범위가 존재하는데 이를 scope라고 한다.
자바에서는 프로그램 실행 단위를 블록단위로 구분하는데 이 블록을 나누는 기준이 {}(중괄호) 이다.
중괄호 안에 선언된 변수는 중괄호 안에서만 사용 가능하니 꼭 확인하자!
scope를 끝으로 23-01-09 수업내용 정리를 마치겠다.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01-16 수업내용 정리 (0) | 2023.01.16 |
---|---|
23-01-12 수업내용 정리 (0) | 2023.01.15 |
23-01-13 수업내용 정리 (0) | 2023.01.15 |
23-01-11 수업내용 정리 (0) | 2023.01.13 |
23-01-10 수업내용 정리 (0) | 2023.0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