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68

23-02-08 데이터 베이스

※ 테이블 예제) 연락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주소록 테이블을 생성 CREATE TABLE address (id NUMBER(3), name VARCHAR2(50), addr VARCHAR2(100), phone VARCHAR2(30), email VARCHAR2(100)); 2.DEFAULT 2-1) 기능 - 칼럼의 입력값이 생략될 경우에 NULL 대신에 입력되는 기본값을 지정하기 위한 기능 - 기본값 : 리터럴값, 표현식, SQL함수, SYSDATE, USER사용 - 칼럼이나 의사컬럼(NEXTVAL, CURRVAL)은 사용할 수 없음 2-2) DESR[RIBE]명령어 - 테이블의 생성 여부와 테이블의 구조를 확인하기 위한 명령어 - 2-3) 서브쿼리를 이용한 테이블 생성 -서브쿼리의 출력결과가 테이블..

DATABASE 2023.02.08

23-02-07(1) 데이터베이스

INSERT FIRST WHEN HEIGHT > 170 THEN INTO HEIGHT_INFO VALUES(STUDNO, NAME, HEIGHT) WHEN WEIGHT > 70 THEN INTO WEIGHT_INFO VALUES(STUDNO, NAME, WEIGHT) SELECT * FROM STUDENT WHERE GRADE >= 2; SELECT * FROM HEIGHT_INFO; SELECT * FROM WEIGHT_INFO; ※ 데이터 조작어 1. Conditional INSERT ALL 예제) 학생테이블에서 2학년이상의 학생을 검색하여 -- 학생테이블에서2학년이상의학생을검색하여height_info 테이블에는키가170보다큰학생의학번, 이름, 키를입력하고 -- weight_info 테이블에는몸무게가..

DATABASE 2023.02.07

23-02-06(1) 데이터베이스 (

1. 다중 행 서브쿼리 - 서브쿼리에서 반환되는 결과 행이 하나 이상일 때 사용하는 서브쿼리 - 메인쿼리의 where절에서 서브쿼리의 결과와 비교할 경우에는 다중행 비교 연산자를 사용하여 비교 - 다중행 비교연산자 : IN, ANY, SOME, ALL, EXISTS - 다중행 비교연산자는 단일 행 비교 연산자와 결합하여 사용가능 IN은 저번에 배웠던 IN 연산자 ANY(하나), ALL(모든 것)을 집중적으로 보자 1) IN 연산자 - 메인쿼리의 비교조건에서 서브쿼리의 출력 결과와 하나라도 일치하면 메인쿼리 조건절이 참이 되는 연산자 - '=' 연산자를 OR로 연결한 것과 같은 의미 예제 ) 정보미디어학부(부서번호:100)에 소속된 모든 학생의 학번, 이름, 학과번호 출력 SELECT NAME, GRADE..

DATABASE 2023.02.06

23-02-03(1) 데이터 베이스(JOIN, 단일행 서브쿼리)

1. ANSI JOIN ※ INNER JOIN(내부조인, 교집합) 1) NATURAL JOIN (자연조인) 자연조인의 사용예) SELECT STUDNO, NAME, DEPTNO, DNAME FROM STUDENT NATURAL JOIN DEPARTMENT; -- 자연조인 사용 2) USING SELECT STUDNO, NAME, DEPTNO, DNAME FROM STUDENT JOIN DEPARTMENT USING(DEPTNO); 3) ON (?와 ?가 같을때) SELECT STUDNO, NAME, STUDENT.DEPTNO, DNAME FROM STUDENT JOIN DEPARTMENT ON STUDENT.DEPTNO = DEPARTMENT.DEPTNO WHERE NAME = '전인하'; ※참고 앞에서..

DATABASE 2023.02.03

23-02-02(1) 데이터베이스 (count, avg, sum, min, max, rollup, cube, groupup(ping), having, join)

1. 그룹함수의 종류 1) count함수 (많이 사용) 테이블에서 조건을 만족하는 행의 갯수를 반환 1-2) 사용법 - '*'은 NULL을 포함한 모든 행의 갯수 - DISTINCT는 중복되는 값을 제외한 행의 개수 - 문자, 숫자, 날짜타입을 쓸수 있다. 예제1) 101번 학과 교수중에서 보직수당을 받는 교수의 수를 출력 SELECT COUNT(COMM) FROM PROFESSOR WHERE DEPTNO = 101; ※ 주의할점 집계함수끼리는 같은자리에 올 수 있지만 일반컬럼과 집계함수는 같은자리에 올 수 없다. SELECT COUNT(*), COMM FROM PROFESSOR WHERE DEPTNO = 101 AND COMM IS NOT NULL; SELECT COUNT(*), SUM(COMM), A..

DATABASE 2023.0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