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code 2

VSCode로 Spring Boot 설정, 프로젝트 생성, 서버 실행

회사마다, 학원마다 셋팅은 모두 다를 수 있으니 참고만 했으면 한다. Spring Boot 수업은 vscode로 진행하기로 했으며 교재는 이걸 사용한다. 1. 기본 설치 - jdk 8버전 설치 - vsocde 설치 2. vscode 플러그인 설치 3. 프로젝트 생성하는법 - 프로젝트는 Spring initializr에서 생성한 뒤 workspace 폴더에 넣는법과, vscode에서 생성하는법이 있다. - 전자로 실행하면 원래 vscode에서 먼저 감지해준다 하는데 우리는 무슨 셋팅을 안했는지.... 안되서 2번째 방법으로 했찌만 둘 다 소개하려고 한다. - 셋팅의 기준은 수업의 기준이지 참고만 해줬으면 한다. 3-1. Spring initializr https://start.spring.io/ 기본적으로..

vscode 터미널 한글깨짐현상

vscode에서 java코드 실행시 터미널에서 한글깨짐현상이 발견되었다. 위 실행문은 노트북에서 실행했을시, 아래코드는 데스크탑에서 실행했을시 출력되는 출력문이며 코드는 같다. 1. 인코딩 설정 변경 구글링시에 인코딩 설정을 EUC-KR로 바꾸면 해결(기존 UTF-8)된다는 얘기가 있어서 변경하였으나 한글로 주석처리된부분이 모두 깨져버려 다시 UTF-8로 변경 2. settings.json 변경 "terminal.integrated.shellArgs.windows": ["-ExecutionPolicy", "Bypass", "-NoExit", "-Command", "chcp 65001"], "terminal.integrated.shellArgs.osx": ["-l"], "terminal.integrated..

이것저것 2023.05.09